식물은 지상에서 햇빛을 얻기 위해 서로 경쟁한다. 또한, 눈에 보이지 않는 지하에서도 또 다른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최근 프린스턴대학원생 시로 카발(Ciro Cabal)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브라질, 스페인, 남미 기초연구연구소) 등이 식물 지하 생활을 밝혀냈다. 식물이 독립적으로 자랄 때와 옆에 또 다른 식물이 가깝게 있을 때 뿌리가 어떻게 경쟁하는지를 관찰하는 새로운...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연구진이 손가락 움직임을 정밀하게 추적하는 차세대 VR 컨트롤러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CHI 2020년 컨퍼런스’에서 논문 ‘근접 센서가 있는 핸드 헬드 장치의 핸드 포즈 추정을 위한 머신 러닝 기법 평가(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Hand Pose Estimation on Handheld Device with Proximity Sensor, ACM Digital Library)’를...
MIT 연구팀이 촉각 의지해 걷고 뛰고 계단을 오르는 4족 보행 로봇 동영상을 공개했다.MIT '생체모방 로봇연구소(Biomimetic Robotics Laboratory)'에서 개발 중인 4족 보행 로봇 ‘치타 3(Cheetah 3)’는 이전 버전보다 슬림화된 3세대 로봇으로 카메라가 사물을 인식하는 컴퓨터 비전 기술이 아닌 다리에서 느낀 감각만으로 안정감 있는 이동과 점프를 선보이고 있다. ‘치타 3’를 개발한 MIT...
미국 하버드 대학의 자기조직 시스템 리서치 그룹(Self-Organizing Systems Research Group)이 마치 개미처럼 집단 협력 행동을 하는 1,024개의 꼬마 로봇(little bots)인 킬로봇(kilobot)을 개발했다.이들은 2011년도부터 로봇개발에 착수하여 2014년 8월에 그동안의 결과를 공개했다. 수 cm에 불과한 개미들이 협력해 거대한 크기의 개미굴을 만드는 원리인, 개미의 집단 지능을 활용하는 생체모방학(Biomimetics) 또는 생체의생학(Biomimicry) 기술이다.지름 3cm의...
3D 프린터로 집을 만드는 시도는 몇 년 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이르면 2019년에도 엘살바도르에서 100채의 3D 프린터로 만든 집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의식주에서 집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빠뜨릴 수 없다. 하지만, 최근 세계자원연구소(WRI, World Resources Institute)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명이 안정적인 집을 가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런 가운데, 3D 프린터로...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B6sn2vRJXJ4]구글의 ‘프로젝트 솔리(Project Soli)’의 진행 상황이 지난 10일(현지시간) 공개됐다. 프로젝트 솔리는 지난 2015년 구글 연례개발자회의(I/O)에서 공개된 손동작을 인식하는 레이더 센서(Radar sensor)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로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는 구글의 프로젝트 솔리는 엄지와 검지의 움직임을 통해 특정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그간 카메라로 시각적인 영상을 인식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포착해내는 방식인 모션인식 기술은...
갈매기 형태의 스마트버드 로봇이 독일의 생체 모방 로봇 전문업체 페스토(Festo)가 2011년에 개발했다.날개의 길이가 1.96m에 육박하며, 무게는 겨우 460g으로 초경량 소재를 사용에 만들었다. 뼈대는 카본파이버, 몸은 폴리우레탄폼으로 구성되어있다. 전기 배터리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조종한다.스마트버드는 멀리서 보면 로봇인지 진짜 갈매기인지 구분조차 못할 정도로 모습뿐만 아니라, 나는 모습까지도 완벽하게 재현하고 있다. 날개는...
로봇공학이 인류를 도울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이고 확실한 방법 가운데 하나는 장애인들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특히 로봇 인공기관(robotic prosthetics)이 유용하다. 2015년 2월 초에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인간의 손처럼 움직이고 감각을 제공하는 의수 시스템을 만드는 연구 프로그램인 햅틱스(HAPTIX: Hand Proprioception and Touch Interfaces)의 연구 수행자를 발표했다.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2015년 2월에 공개한 2개의...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 업그레이드 버전이 2월 2일 영상으로 공개됐다.기존 기능이 대폭 향상됐다. 공개된 영상을 보면 스팀 밸브 레버를 당겨 잠그며, 문손잡이를 비틀어 연다. 또 집안 바닥에 흩어진 옷을 집어 세탁 바구니에 넣고, 시멘트 블록을 도로를 가로질러 끌어당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스팟 3대가 흠잡을 데 없는 줄넘기를...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9NOncx2jU0Q] 생각만으로 움직이는 인공 팔이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 응용 물리학 연구소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APL)에서 개발됐다.40년 전 전기 사고로 양팔을 잃은 미국 콜로라도주 이 남성은 생각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인공 팔 Modular Prosthetic Limb (MPL)을 이식 받은 것이다. 이 남성은 인공 팔 시스템을...
40대 이상은 어린 시절 고드름을 가지고 놀거나 아이스 캔디처럼 빨아 먹은 적이 있는 사람도 있다. 그런 고드름을 먹는 행위는 “조류 배설물(새똥)은 것”이라고 미국 기후학자가 영상을 통해 경고했다.미국 캔자스주에 사는 기후학자인 카티 닉클라우(Katie Nickolaou)가 틱톡(TikTok)과 트위터(Twitter)에 공개한 영상이 수백만 회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고드름이 생기는 과정은 지붕에서 녹은 물이 흘러...
의료 로봇 개발은 최근 눈부신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2017년에는 외과 의사보다 10배 이상의 정밀도로 눈 수술이 가능한 로봇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간이 조작하는 로봇 손일 뿐이다.하지만 이번에는 수술 영상을 보고 학습해 인간 외과 의사처럼 스스로 수술이 가능한 로봇손이 개발됐다.‘모션 2벡(Motion 2Vec)'이라 불리는 외과 수술용 로봇 손은 구글 브레인(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