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0일, 삼성SDS의 과천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삼성 금융계열사의 홈페이지 접속과 온라인 결제가 중단된 일이 발생했었다. 비단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이 아니더라도 IT서비스를 본업으로 하지 않는 기업에서 사내 정보시스템 운영을 위해 물리적 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상당히 골치 아픈 문제이다.지금까지 국내의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은 모바일게임, 인터넷관련 기업의 웹 시스템이 주류를...
구글 포토(Google Photo)가 출시된 지 5개월 만에 월간 활동 사용자수가 1억명을 돌파하면서 구글의 최종 목적지에 한발 더 나가게 되었다. 구글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10월 19일(현지시간) IT전문 미디어 더버지(The Verge)를 비롯한 미국 현지 언론들은 구글이 기념비적인 기록을 세우게 됐다고 전했다.구글 포토는 지난 2015년 5월 구글의 소셜 네트워크서비스인...
페이스북과 구글앱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포레스터 리서치 (Forrester Research) 조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페이스북 앱이 사용시간에서 13%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13% 중에서 11.5%(85%)의 시간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서 사용하며, 나머지는 메신저(Messenger) 또는 왓츠앱(WhatsApp)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구글앱이 12%로 2위에 올랐다. 구글 고유의 검색시간 이외에 전체 12%...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더 이상 먼 미래의 공상과학 영화의 소재가 아니다. 현재 수많은 IT기업들이 이미 인공지능을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에 접목시키고 있다. 구글 인공지능은 우리에게 이미 익숙하게 다가와 있다. 구글의 번역, 구글 포토의 이미지 인식, 지메일 스팸 메일 처리 등이 인공지능 기반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구글은 인공지능을 향한 야심은 이 정도로 끝나지 않는다....
애플이 아이폰에 탑재될 셀룰러 모뎀 칩을 자체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디인포메이션(The Information)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애플이 아이폰 구성 하드웨어 중 하나인 셀룰러 모뎀(cellular modem)을 연구하고 있다는 증거를 찾았다"며 "구인란에 샌디에이고 사무실에서 일할 셀룰러 모뎀 시스템 설계자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애플의 이러한 독자 개발 배경에는 퀄컴과의 관계 악화가 작용했다. 애플은 아이폰과 아이패드에...
CPU보다 최대 1만 배 빠른 속도로 연산 가능한 머신러닝 처리 장치 ‘메모리 스타칩’ 프로토타입이 등장했다.미시간 대학 웨이 루 교수 연구팀은 꿈의 소자로 여겨지는 ‘멤리스터’를 사용해 현재 컴퓨터에 탑재된 CPU보다 최대 1만 배나 빠른 속도로 머신러닝을 처리할 수 있는 연산 장치를 개발했다.연구 성과는 네이처지에 논문명 ‘효율적인 다중 연산을 위한 완전히...
9월은 그 시작부터 삼성과 애플의 연이은 신제품 발표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특히 기존에 삼성이 개척한 5인치 이상의 대화면을 가진 스마트폰 영역에 애플이 첫 경쟁 제품을 발표했고, 일찌감치 삼성이 선점으로 순항 중이었던 웨어러블 스마트워치 시장에도 첫 경쟁 제품인 애플 워치를 발표하며 정면 승부에 나섰기 때문이다.애플과 삼성 양사간의 연이은 특허소송도 합의로 봉합되어가는...
KAIST의 이건재(이번 논문 교신저자) 교수 연구팀과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 심장과의 정보영 교수 연구팀이, 부정맥(arrhythmia) 등으로 고통을 받는 환자의 심장에 이식된 인공심장 박동기(artificial cardiac pacemaker)에 반영구적으로(operated semi-permanently) 전력을 공급, 어깨에 부착할 수 있는(Wearable), 플렉스(휘는)한 압전효과의 나노발전기(a flexi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를 개발했다.또한 세계 최초로 데모하고, 2014년 4월 17일자의 어드밴스트 머트리얼(Advanced Materials) 지의...
공공기관 대다수가 웹사이트 정보 검색을 전체 또는 부분 차단해 정부 정책에 역행하고 국민들의 정확한 정보 접근에 불편을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는 정부가 ‘정부3.0’을 주장하면서 공공정보의 개방·공유·소통·활용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공공정보가 많은 공공기관들이 정보 검색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IT융합비즈니스전공과 웹 개방성 평가기관인 웹발전연구소(www.smartebiz.kr)와 및 웹 개방성 인증기관인 한국ICT인증위원회(KIAC)가...
구글 개발자 콘퍼런스 ‘구글 I/O 2015’에서 SK텔레콤 증강현실 플랫폼과 구글의 3D 기술이 결합된 ‘T-AR for Project Tango’가 공개됐다. 또한 3D 센서가 탑재된 IT기기 ‘Tango’를 이용해 시연도 진행됐다.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현실 세계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융합·보완해 주는 기술로 스마트기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환경이나 사물에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Project Tango’는 구글의...
요즘은 어디를 가나 IT 관련 스타트업 성공에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야기를 빼 놓을 수 없다. 이러한 성공사례는 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에서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굳이 여기서 소개하지는 않겠다.각사의 클라우드 성공 사례 소개 페이지 SaaS Salesforce PasS Microsoft Azure IaaS Amazon AWS 오늘의 주제는 제목에서 쉽게 짐작 할 수 있겠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어두운...
요즘 실리콘밸리에서 아이패드로 손쉽게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그만큼 모바일 세상이 금융산업의 진입장벽을 낮춰줬다는 의미다.실리콘벨리 닷컴(www.siliconvalley.com) 23일자 보도 자료를 인용, 실리콘벨리의 금융과 기술 즉, 핀테크에 대해 알아보자.먼저 핀테크는 은행 직원과 약속 시간을 잡고, 각종 증빙을 제출하고, 신용등급에 합당한 대출 금리를 승인 받는데 시간을 쓸 필요가 없다. 온라인으로 한눈에 담보 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