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주 호손에 위치한 회사 스튜디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가정용, 산업용, 공공용 배터리 모델을 공개했다. 테슬라의 배터리가 베일을 벗은 것이다. 엘론 머스크(Elon Musk) 테슬라모터스 최고경영자(CEO)는 이 자리에서 "지금까지 나온 배터리는 형편 없었다“며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범위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의 배터리는...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aogKkzESbgs?list=UUlMJeVIVyGp-3_kWtspkS0Q] 우주 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암흑물질 신호가 발견돼 천문학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암흑물질은 70년 전에 처음으로 그 이론이 나왔지만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없었다. 암흑물질은 우주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암흑 물질이 어떤 입자로 만들어졌는지는 알려지지 않아 '암흑물질'(dark matter)이란 이름이 붙었다. ...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고성능·대용량 원 메모리, ‘이팝(ePoP, embedded Package on Package)’을 본격 양산한다. 삼성전자가 지난 해 최초로 웨어러블(Wearable) 기기용으로 양산한 ‘이팝(ePoP)’은 크기가 작은 웨어러블 기기에 맞도록 D램과 낸드플래시, 컨트롤러를 하나로 묶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위에 바로 쌓을 수 있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낸드플래시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정부가 공간정보 목록 표준화를 완료해 누구나 쉽게 공간정보 이용이 가능하도록 했다.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 선순환 구조 실현을 위한 첫 단계로 국가공간정보 목록조사 개선계획에 따른 공간정보목록 표준화를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국토부는 지난 4년간 취합된 공간정보목록 8만 9000여 건을 분석하고 3개월간 전수조사를 통해 정보중복과 누락 등을 확인했다.국토부는 공간정보목록 기초조사를 통해 표준화된 분류체계 미비, 부정확한...
한국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의 보안 표준화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했다.국립전파연구원은 지난 9월 6일 폐막된 ITU-T SG17 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블록체인(분산원장기술) 보안 표준 연구과제의 신설이 합의되고, 연구과제 책임자급인 라포처(Rapporteur)로 한국 오경희 대표(티씨에이서비스)가 임명됐다고 밝혔다. ITU-T SG17(의장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기통신표준화 부문 산하 연구반(SG :Study Group)으로, 보안 관련 기술...
구글이 추진하고 있는 통신 서비스 사업 프로젝트 파이(Project Fi)가 미국에서 본격 확대하기 시작했다.7일(현지시간) IT전문 미디어 더버지는 그동안 구글로부터 받은 초대장을 받은 사람만 제한적으로 가입했던 구글의 '프로젝트 파이'(Project Fi)를 누구나 별도의 초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구글의 프로젝트 파이는 구글이 기존의 통신망을 임대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MVNO)으로 2015년 4월 22일에...
조지아 공대(Georgia Tech) 인터랙티브 컴퓨팅대학(School of Interactive Computing)과 로봇 및 지능형 기계연구소(Institute for Robotics and Intelligent Machines)의 연구원들이 컴퓨터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에 착용형 카메라를 가지고 30초에서 60초마다 찍은 4만개 이상의 사진들을 수집했다. 그리고 사람들이 하고...
서울대학교와 롯데월드, 둘 중 어느 곳이 전기를 더 많이 쓸까? 정답은 서울대다. 2013년 기준 서울대의 전기 사용량은 15만 2031MWh, 롯데월드는 11만 2402MWh로 서울대가 4만KWh 정도 더 많이 사용했다. 서울대의 연간 전기요금은 183억원으로 국내 최대 규모다.병원, 연구동, 도서관, 기숙사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이 225개나 되고 각 건물마다 다양한 형태의 전력 소비...
종이처럼 접을 수 있는 스마트 기기 시대가 성큼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국제공동 연구진이 소자의 유연성과 변형에 대한 저항을 극대화한 차세대 폴더블(foldable)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개발된 소자는 간단한 용액공정으로 제작가능하며, 종이처럼 접을 수 있어, 향후 웨어러블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통신 및 저장 장치 소자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연세대학교...
29일(현지시각) CRM 서비스의 선두 기업 세일즈포스닷컴 주가가 12% 가까이 치솟아 시가총액 490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 이유는 오라클이 세일즈포스닷컴을 인수한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블룸버그와 실리콘밸리닷컴 등 해외 매체들은 익명의 소식을 인용, 소문의 출처는 세일즈포스닷컴이 최근 비밀스러운 거래 진행을 위한 금융 자문회사를 선정했다고 보도했다. 이를 관련 업계의 전문가들은 M&A로 예측했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초연결사회에 맞춰 IOT(Internet Of Things) 보안연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동으로 새로운 사이버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정부 SW·IOT 보안센터’를 개소한다. 행정자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그간 전자정부의 소프트웨어를 보호해 온 ‘시큐어코딩’ 방식을 IOT와 모바일 분야까지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기관에 보안기술을 지원해 나가기로 하였다. ...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음란물 필터링 AI기술인 ‘네이버 X-eye’를 이미지 부분에 적용한다고 31일 밝혔다. 네이버 X-eye는 부적절한 내용을 담은 이미지(음란물)가 네이버에 등록될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검색 노출을 막아준다. 적용에 앞서 네이버는 축적된 방대한 이미지를 형태별로 분류해 10개월동안 AI를 학습시켰다. 네이버 X-eye는 최근 버전에서 4백만장의 이미지(정상+음란물) 필터링을 내부 실험한 결과 98.1%의 높은...